ㅓ중장년층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중 하나는 단연 치매입니다.
하지만 ‘잇몸 건강’이 치매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잇몸 질환을 유발하는 구강세균이 뇌혈관을 타고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고,
이것이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결과가 속속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구강 문제로 치부해왔던 치주질환(잇몸병)이 중장년기 기억력 저하,
인지 기능 장애, 나아가 치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제는 구강 관리도
뇌 건강 관리의 중요한 축으로 여겨야 할 시점입니다.
1. 구강세균과 치매의 연결 고리
2023년 미국 뉴욕대학교 연구팀은 치매 환자의 뇌에서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 gingivalis)라는
치주질환 박테리아와 그 독소가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균은 치은염, 치주염의 주범으로 잘 알려져 있음
치주균 독소는 뇌에 염증을 일으키고 신경세포 파괴 유도
-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유도해 알츠하이머형 치매 위험 증가
즉, 단순히 이가 아프고 피나는 증상이 아니라,장기적으로
뇌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2. 중장년층이 특히 주의해야 하는 이유
40대 이후에는 잇몸 조직이 자연스럽게 퇴화하고 면역력 또한 떨어지기 때문에
치주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더군다나 갱년기 이후 호르몬 변화, 당뇨 등 만성질환과 맞물릴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입냄새가 심해지는 증상이 있다면
이미 염증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장년기에 가장 많이 겪는 증상들:양치 시 출혈
- 잇몸 붓기 및 통증
- 입 냄새 증가
- 치아 흔들림 또는 이 사이 벌어짐
3. 잇몸 건강을 지키는 실전 루틴
치주염은 생활습관만으로도 충분히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중장년층에게 꼭 필요한 루틴입니다.
- 하루 2회 이상 치실 및 칫솔질
칫솔질 후 치간 칫솔 또는 치실 사용으로 플라그 제거 - 항균 구강세정제 사용
치주균 증식을 억제하는 제품 활용 (예: 클로르헥시딘 계열) - 정기적인 스케일링
연 1~2회는 치과 방문하여 치석 제거 - 혈당·혈압 관리
당뇨, 고혈압은 치주질환을 악화시키는 대표적 원인 - 균형 잡힌 식단
비타민 C, 칼슘, 오메가3 등 항염 영양소 섭취
💡 전문가 Tip: 치아가 시리거나 잇몸이 물러졌다면 이미 만성 치주염 단계일 수 있으므로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4. 치매 예방은 입속 관리에서부터
치매는 발병 후에는 회복이 어려운 질병이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일본 도쿄치대 연구에 따르면 잇몸병을 방치한 그룹이 치매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구강 내 환경 관리가 뇌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잇몸 건강은 단지 치아 보존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삶의 질과 직결되는 건강관리의 핵심</strong입니다.
5. 중장년을 위한 잇몸 건강 체크리스트
- ☑ 양치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난다
- ☑ 입냄새가 예전보다 심해졌다
- ☑ 치아 사이가 벌어지거나 흔들린다
- ☑ 음식물 끼임이 자주 발생한다
- ☑ 치과 정기검진을 1년 이상 받지 않았다
위 체크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치주질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까운 치과를 방문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 한줄 요약
잇몸이 건강해야 뇌도 건강하다!
치매 예방의 시작은 매일의 양치와 구강 관리에서 시작됩니다.
40대 이후에는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실천해 보세요.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중년층 필수 장바구니: 똑똑한 장 건강 식품 추천 (12) | 2025.07.01 |
---|---|
만성 피로가 간 때문이 아닐 때, 갑상선 질환 의심해야 할 증상 (8) | 2025.06.29 |
50대라면 이 3가지! 건강기능식품 추천 (18) | 2025.06.27 |
수면보다 중요한 ‘발 건강’—중년 족저근막염 예방 꿀팁 (10) | 2025.06.25 |
코어 근력이 곧 건강이다: 50대 이하탈증 예방 루틴 (13) | 2025.06.23 |